조모상휴가 몇 일? 주말 포함? 처조모상도 포함? 총정리!
반응형
직장생활 중 피치 못하게 찾아오는 가족의 장례. 특히 조모상(할머니 상)을 당했을 때 조모상휴가가 몇 일인지, 주말 포함 여부, 처조모상휴가 적용 가능성까지 궁금한 점이 많습니다. 이 글에서는 조모상 휴가일수와 관련 규정, 실제 사례 등을 구체적으로 정리해 드리겠습니다.
1. 조모상휴가란?
조모상휴가란 근로자가 할머니(친할머니 또는 외할머니)의 사망 시 사용할 수 있는 경조사 휴가입니다. 이 휴가는 일반적으로 회사의 취업규칙 또는 단체협약에 따라 정해지며, 법적으로 명확히 규정된 것은 아닙니다.
2. 조모상휴가일수는 며칠?
- 일반적으로 1~3일 제공
- 대부분의 기업에서 3일 제공 (1일 장례식, 2일 장지 이송 및 조문)
- 유급/무급 여부는 회사 정책에 따라 다름
- 공무원은 조모상 3일 공가 가능
조모상휴가일수는 법정휴가가 아니기 때문에 반드시 회사 취업규칙을 확인해야 합니다.
3. 조모상휴가 주말 포함되나요?
많은 사람들이 헷갈리는 부분입니다.
- 주말은 원칙적으로 휴가일수에 포함되지 않습니다.
- 예시: 금요일부터 3일간 조모상휴가 시 → 실제 휴가는 금~월까지 적용
- 단, 회사마다 주말 포함 여부는 상이하므로 인사팀 확인 필요
4. 처조모상휴가도 가능한가요?
처조모는 배우자의 외할머니 또는 친할머니를 뜻합니다.
- 일반적으로 직계존속의 사망만 경조사휴가 대상
- 처조모는 사위 입장에서 '직계존속'이 아니므로 불포함
- 다만 일부 회사는 배우자의 조모상도 예외적으로 인정하기도 함
결론적으로 처조모상휴가는 법적으로 보장되지 않으며, 회사 정책에 따라 허용 여부가 달라집니다.
5. 조모상 시 연차나 조퇴로 처리해야 하나요?
- 경조사 휴가가 없는 회사의 경우 연차 또는 조퇴로 사용 가능
- 갑작스러운 상황에서는 조모상조퇴 처리도 관례적으로 인정됨
- 경조사로 인한 조모상결근은 일반 결근과 구분되기도 함
6. 조모상 장례 참석 시 유의사항
- 사망진단서 또는 부고장 제출 요청 가능
- 출장지에서 장례를 치를 경우 출장비와 별도 처리
- 출근 후 조모상 발생 시 당일 조퇴 후 다음날부터 휴가 처리
반응형
'생활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잉 앗살라말라이쿰 뜻과 영어 표현, 문화적 의미 (0) | 2025.06.27 |
---|---|
전입신고 인터넷으로 간편하게 신청하는 방법 (정부24 이용법 포함) (1) | 2025.06.27 |
캐시비(이즐) 사용처 - 편의점, 롯데리아, 교통까지 (1) | 2025.06.27 |
크롬 팝업차단 해제 방법 (PC, 모바일, 아이패드) (0) | 2025.06.26 |
KT포인트 현금화 및 활용법 완벽 정리 (0) | 2025.06.26 |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