> 2025 군인성과상여금 - 등급·지급일·평가비법
본문 바로가기

2025 군인성과상여금 - 등급·지급일·평가비법

_YA 2025. 6. 25.
반응형

 

군인성과상여금은 전년도 근무 실적을 바탕으로 매년 3월 지급되는 성과급제 보수 항목입니다. 올해 국군재정관리단 공지에 따르면 2025년 군인성과상여금지급일

2025 년 3 월 18 일(화)

로 확정되었으며,

부대별 내부 행정 절차에 따라 ±3일 차이가 날 수 있습니다. :

1. 군인성과상여금등급 체계 한눈에 보기

등급 지급인원 비율 지급률(기준액 대비) 2025년 실례(중위 1호봉, 기준액 290만 원 가정)
S 상위 20 % 215 % 약 623 만 원
A 상위 20 % 초과‧60 % 이내 150 % 약 435 만 원
B 상위 60 % 초과‧90 % 이내 90 % 약 261 만 원
C 하위 10 % 미지급 0 원

지급률은 「성과상여금 지급등급 및 지급액표」 별표(국가공무원 복무·보수 규정)에서 정한

군인 성과상여금 특례를 그대로 적용합니다. 

2. 평가 항목 & 배점

  • 임무 수행도(40 %) — 작전 수행률·연대 KPI 달성도
  • 전투 준비태세(30 %) — PRT, 사격, 장비 가동률
  • 군 기강 & 안전(20 %) — 사고·징계·보안 위반 건수
  • 리더십/조직문화 기여(10 %) — 동료 평가·교육 이수

2024년부터 AI 기반 통합평가시스템이 도입돼 주관 항목 비중이 줄고 객관 점수(빅데이터·근태)가 확대되었습니다.

따라서 군인성과상여금 상향을 노린다면 전투 준비태세 점수가 관건입니다.

3. 기준액은 어떻게 정해질까?

군인성과상여금 기준액 = 소령 9호봉 봉급 × 직급별 보정계수 (2025년 소령 9호봉 봉급 = 383만 8,400 원) 

즉, 장군·영관급·위관급·부사관·병은 동일한 퍼센트라도 실제 지급액이 다르게 계산됩니다.

4. 전역·휴직자 군인성과상여금 수령 조건

  • 평가기간 말일(12 월 31 일) 기준 복무 기간 6개월이면 대상자
  • 전역·파견·휴직 중이라도 3월 지급일에 국방부 등록 계좌로 입금
  • 아웃소싱 된 기록은 국방인 사정보체계 > 성과급 조회에서 확인

5. 올해 꼭 알아둘 군인성과상여금 Q&A

Q1. B등급 이상을 노리는 실전 팁?
A. 전투력 지표는 소대 단위 합산이므로 개인 사격·체력·정비율을 꾸준히 기록해 상위 50 %를 유지하면 유리합니다.

Q2. 군인성과상여금지급일 전후 세금은?
A. 근로소득세 6.6 % + 지방소득세 0.66 %가 원천징수 되며, 연말정산에서 추가 환급·추징이 조정됩니다.

Q3. 평가 결과에 이의 신청 가능?
A. 통지일로부터 15일 이내 이의신청서를 지휘관 경유 > 참모 총장(인사)에게 제출하면 재심의 가능.

 

6. 실천 체크리스트

  • 3월 중순 군인성과상여금지급일 전 휴대폰 문자·EPIS 알림 확인
  • 전투 준비태세 지표(사격·PT·장비 가동) 분기별로 스프레드시트 관리
  • 부대별 평가 기준(가점·감점 사항) 주간 브리핑으로 공유
  • 전역 예정자는 지급 대상 여부를 인사과에 사전 문의

군인성과상여금은 단순 보너스를 넘어 정예 국군의 지표입니다. 올해도 맡은 자리에서 최선을 다해 S·A 등급을 노려 보세요!

 

반응형

댓글